빙하의 소리를 신체의 소리로 기록 - 전보경,아람누리 (궤적을 연결하는 점들 전시중)
전보경은
기술과 문명 속에서 인간 신체가 세계를 감각하는 방식을 탐구하여, 장인들의 몸짓과 이야기를 수집해 책, 영상, 설치 작업으로 재구성한다고 합니다. 이번 작품에서는 빙하의 이야기를 수집하여 "이름없는 노래 : 글래시아 블루" 빙하를 노래했습니다.
또 작가는 인간, 기술, 자연의 관계를 확장된 시각으로 바라보며, 인간중심성을 넘어 환경과 신체의 상호작용을 모색하며 정서적, 물질적 전환을 이루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있다고 합니다.
"전보경은 구조나 제도에 의해 상대적으로 가려진 예술과 비예술, 역사와 수집된 기억의 관계에 대해 주목한다.
그리고 이들의 관계를 ‘다시-쓰기’하는 방식으로 작업한다. 이를 위해 작가는 역사적, 정치적, 문화적 격동 속에서 개인이 겪는 삶의 변화에 관심을 갖고, 사람들의 이야기를 수집 후, 다시 예술이라는 언어로 번역한다.
특히 ‘비예술로서의 장소특정적 상황’에 놓인 사람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미적인 것’ 혹은 미적인 것과의 차이를 발견하고, 이 지점에서 예술과 비예술의 관계에 의문을 갖는다. 작가는 관객, 예술 교육을 받지 않은 기술자들, 역사에서 사라지는 수공업자들을 자신의 무지한 스승으로 초대한다.
서로는 가르칠 것을 알지 못하고, 앎을 전달하지 않으면서, 다른 앎의 원인이 된다. 이 과정에서 비예술과 예술의 경계에 대해 스스로 질문하고, 개인사와 역사의 교차지점을 모색함으로써 공동의 배움을 갖고자 한다. 작가의 ‘다시-쓰기’란 픽션과 논픽션, 사실과 기억, 개인과 집단을 해석하고, 해체하고, 재조합시킴으로서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고, 말해지지 않는 개인들의 이야기를 새로운 예술 이야기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 인천아트 플랫폼 인터뷰 내용중
이름 없는 노래 : 글래시어 블루
* 글라시아(glacia)는 고대 라틴어로 '빙하', 에스페란토로 '얼음의'를 뜻한다(나무위키)
"전보경은 자연, 인간, 기술 간에 관계를 탐구하며, 기후변화로 사라지는 자연의 소리를 기록하고 재구성하는 작업을 전개한다. <이름 없는 노래 : 글래시어 블루>는 빙하의 소리를 인간의 신체의 소리로 번역하여 물의 비정형성과 유동적 특징을 드러낸다. 고체, 액체, 기체로 변화하는 물의 속성을 통해 자연과 인간의 복잡한 관계를 새로운 소리풍경으로 표현한다.
작품에서 감응하는 능력을 갖고 있는 신체는 빙하와 만나 즉각적이고 역동적인 정동을 혀의 움직임, 숨소리, 마찰음 등 소리들로 치환시킨다. 언어가 되기 전의 소리, 혹은 언어적 의미를 넘은 소리들은 인간의 것도 아닌, 자연의 것도 아닌 그 사이에서 진동하며 감각적 체험으로 확장된다. 전보경의 작업은 단순히 자연을 기록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횡단하며 감각적으로 재구성하여 새로운 세계관과 전환점을 제시한다."
- 미술관 자료
작품의 배경이 되는 공간은 모두 글래시어블루로 되어있고,
편안하게 앉아서 이름없는 빙하의 노래를
들을 수 있도록 꾸며져 있다.
빙하의 소리를 인간의 신체 소리로 번역한 보이스 퍼포머 7명의
"이름없는 노래"가 스피커를 통해서 계속 흘러나온다.
"구름과 바람, 별과 꽃
빙하와 눈송이 -
살아있는 모든 존재나
무생물의 모든 형태가
인간의 영혼에 흔적을 남긴다." - 전보경
학력
- PHD 이화여자 대학교, 서양화, 서울, 2016
- MFA Pratt Institute, New Form, NY, USA, 2010
- MFA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Digital Media, RI, USA, 2007
- BFA 이화여자대학교, 회화 및 판화 전공, 서울, 한국,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