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미술관은 2004년부터 지금까지 금호영아티스트 공모 프로그램을 통하여 총95명의 젊은 작가를 선정하여 개인전을 지원해 오고 있다, '2024 금호영아티스트' 전시는 2023년 제21회 금호영아티스트 공모에서 선정된 작가 6명 각각의 개인전으로 구성된다. 1부 3.22`4.28에서는 작가 송수빈, 오제성, 최은빈의 개인전을, 2부5.10~6.16에서는 작가 강이경, 왕선정, 임선구의  개인전을 선보인다." - 미술관 안내글 발췌

 

 

전시장에 들어섰을때 눈앞에 펼쳐지는  두그룹의 조각군상의 무리들..

머리에는 하나같이 어떤  큰 조각들을 지고 어딘가를 향하여 전진하고있는 모습

 

먼저 녹색의 3명 + 아이1명의 군상은

머리위에 고대의 신전에서 볼 만한 조각난 큰 조각을 이고

그 군상들의 한 손에는  긴 나무판위에도 작은 군상의 조각을 들고 가고 있다.

자세히 보니 3명의 군상 사이에 한 아이도 양손에 조각을 들고 가고 있다.

 

두번째 흰색의  4명의 군상은 

맨 앞에 여성, 그 뒤에는 가녀린 여성? 그 뒤는 미완성의 여성?

역시 머리위에 탑모양의 조각을 이고 어딘가로 가고 있다.

 

"현재 젊은 자신들과 작품은 과거의 선조들과 작품에서부터 이어져왔고,  후대의 자녀세대들에게도 이어져.. " 라는 의미를 담은 듯한 조각 작품인 것처럼 느껴진다.

 

곱게 다듬어지지않은 우람한 조각들의 물성은 석고같기도,  흔히 보는 우레탄폼 같기도 하고

또 어떤 작품은 투명프라스틱과도 같다..

 

투박한 군상들의 조각이지만  근육질에는 힘이 넘쳐난다.. 

 

이쯤해서 미술관의 설명을 살펴보니...

 

제목 : Ghost Protocol

"작가 오제성은 한국의 전통적인 감각이 현대에 기대 생존할 수 있는 방법에 질문하면서 전국 각지의 비지정문화재를 중심으로 조형적인 연구를 전개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는 작가는 고전 재래조각부터 근대기 조각까지 내려져 온 조각적 규범과 규약을 실기적 차원에서 연구하고 현대의 기술로 재해석하여 새로운 조각의 형태를 보여준다.

그는 3D 스캔과 프린트를 활용하여 서로 다른 양식의 조각들을 형태적으로 결합하고 과거에는 존재하지 않았을 산업재료로 작업을 구현한다. 이처럼 선대 조각가들의 이질적인 작업양식을 동시대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전통과 현대이 공존을 모색한다" - 미술관 안내글 발췌 

 

 

 

 

 

 

 

 

 

 

 

 

김이순(미술사가)의 평

경계의 해체, 조각의 재구성 : '오제성의 은밀한 작전 Ghost Protocol'

"오제성의 'Ghost Protocol' 은 너무다양해서 혼란스러워 보이기조차 한다. 무엇하나 '단일성' 이라는 단어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없어 보인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형상들 대부분은 작가가 새롭게 만들기보다 서로 다른 시기에 다른 지역에서 제작된 조각품들에서 차용된 이미지이다. 차용의 방식도 다양하다. 작가가 원본을 보고 직접 손으로 제작한 경우도 있고, 3D로 스캔해서 3D 프린터로 출력한 것도 있다. 사용한 재료역시 조각의 가장 원초적인 재료인 흙을 비롯하여 스테인레스 스틸, 스티로폼, 발포우레탄, 방수페인트 등의 건축용 신소재까지 다양하다. 

 

이렇듯 전통 조각가들이 추구한 조형적 아름다움이나 순수성내지는 단일성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는, 오제성의 생경하고 복잡한 구조의 작품에서 우리는 무엇을 읽을 수 있을까?

 

이번 프로젝트는 크게 두 파트로 구성되어있다. 그중 한 파트는 한국 조각품에서 차용한 형상들로 이루어져 있다. 제작자를 알 수 없는 옥계리석불, 김복진의 대표작인 김제 금산사 미륵대불, 작가의 아버지 오상욱 조각가의 인체상들이 다양한 재료와 방법으로 소환되어있다...시대와 크기가 다른 불상을 병치해 놓으므로 한국 조각의 흐름에서 다른 층위에 있는 두 작품을 직접 연결함으로써 상이한 조각적 규범과 형태를 실기적 차원에서 탐구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탐색은 현대조각으로 확장된다. 세명의 인물이 팀으로 이뤄서 머리에 뭔가를 이고 줄지어 걸어가는 장면이 두가지로 표현되어 있는데, 이러한 이미지는 오상욱의 청동작품<억압에 대한기억>을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오상욱의 작품에는 인물들은 거대한  직육면체 덩어리를 머리에 이고 힘겹게 걷는 모습인데 반해 오제성의 작품에서는 젊은이들이 고개를 들고 당차게 전진하고 있다. 두 팀 중에서 한 팀은 김복진의 미륵대불을 3D로 스캔한 데이터를 이용해, 두상의 일부만을 원본 크기로 출력한 조각상을 머리에 이고 있다. 이 근대문화유산을 머리에 인 젊은이들은 손에 세라믹 조각상들을 들고 이있는데, 이 세라믹 조각상들은 오상욱의 작품들을 보고 작가가 직접 손으로 축소 모형으로 만든 것이다.

다른 한 팀에 등장하는 세 명의 인물 역시 오상욱이 작품을 차용한 것이다. 맨 뒤의 인물은 스티로폼으로 제작한 다음 표면에 방수페인트를 발랐으며, 그 앞의 인물상들은 오상욱의 인물상을 차용하여 스티로폼으로 제작한 다음 표면에 실런트 같은 현대적 재료를 덧발라 완성했다. 머리에 인 조형물은 이 작품을 제작하는데 사용한 온갖 건축용 재료의 포장재로 제작되었다. 즉 쓰레기를 재활용한 것인데, 이는 현대적인 재료와 기법을 통해 '알맹이'와 '껍데기'의 경계를 해체하며 이 시대의 에피스테메를 보여주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오제성은 민간인의 삶과 욕구에 부응하는 석조불상을 제작한 무명의 석공, 근대라는 시기에 호응하는 사실적 인체에 가까운 불상조각을 제작한 김복진, 사실적인 인체를 넘어 표현적인 청동 인체조각 작품을 제작한 아버지 오상욱, 그리고 서양 현대조각의 시조로 평가받는 로댕의 조각적 규범 내지는 규율을 자유롭게 차용, 복제, 전유하여 한 자리에 불러 모았다. 그 뿐아니라 전통적인 조각 재료인 흙을 비롯해 스테인리스 스틸, P.L.A, 스치로폼, 발포우레탄, 우드필러(퍼티), 실런트, 방수포 등 현대 건축에서 사용하는 신소재를 다양하게 사용했으며,  기법역시 소조기법외에 아상블라조, P.L.A 코일방식의 3D 프린팅 등을 자유롭게 넘나든다. 이토록 다양한 소재, 재료, 기법을 하나의 작품으로 통합함으로써 작가는 무엇을 의도한 것일까??

 

'Ghost Protocol' 이라는 명제하에 전통과 근대, 근대와 현대, 주류와 비주류, 서양과 동양, 안과 밖, 알맹이와 껍데기, 중심과 주변, 정통과 비전통, 물질과 정신, 기성과 전위, 미술과 비미술 등등의 이분법적 구분을 해체한다. 나아가 이러한 이항 대립적인 요소들을 현대적 기술과 재료롤 결합하여 하나의 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포스트 모던 사회의 탈경계적 영토를 모색하고 있다" 

 

작가의 의도와 생각이 그런 작품들을 만들었군요!!  평을 읽어보니 작품이 보인다..

+ Recent posts